주민센터에서 받을 수 있는 전 국민 지원금 신청
고금리 고물가 시대에 매달 고정적으로 지출하는 비용들로 핸드폰 요금 전기요금 가스요금 등 생활비로 고정적으로 나가는 비용들이 있습니다만 그중 중요한 것은 식품 구입비입니다. 요즘에는 정말 물가가 많이 올라서 과일 야채 고기 등 구매하려고 집었다가도 다시 놓게 되는데요. 소비자 물가 지수는 검색만 해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듯이 현재 한국물가가 엄청 올랐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일상생활에 빼놓을 수 없는 식품 구입비 시범사업을 통해 지자체별로 지원금을 지급한다고 하니 정부 지원 혜택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
농식품 바우처 제도란
먼저 농식품 바우처라는 제도는 소득 불평등 심화 고령화 등으로 경제적 취약계층이 확대되고 영양섭취 수준과 식습관 악화로 건강 위험이 심화됨에 따라 미래의 부담해야 하는 의료비 등 사회적 비용 감소를 위해 경제적 취약계층 대상 영양 보충적 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도입을 추진 중에 있는데요. 농식품 파업처 제도를 통해 취약계층이 영향 건강이 개선되고 식품 접근성이 강화되는 등 먹거리 정의실현으로 사회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합니다.
경제적 취약계층인 식품 접근성 강화 및 영양보충 지원 국산 농축산물의 지속 가능한 소비 기반을 구축하고 식생활 교육 연계를 통한 취약계층의 식생활 개선을 위해 농식품 바우처가 함께 합니다.
농식품 바우처 사용방법
충전되는 방식이 아닌 매월 1일 카드 금액에 재충전되어 당월 말까지 사용 가능하며 매월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2월 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해당 월 기간 내 사용하셔야 됩니다. 공급되는 품목은 정해져 있는데요. 국내산 과일 채소 흰 우유 신선 계란 육류 잡고 꿀 두부류 단순 가공 채소류 품목이 지원됩니다.
지원 대상은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가 혜택을 볼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2인 가구의 경우 중위소득 50%일 경우 1728,077원이고 4인가구 기준 50% 일 경우 270만 482원입니다.
농식품 바우처 신청기간
2023년 11월 30일까지 신청이 가능하고 지원 대상의 가구원 가족 친족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 후에는 바우처 카드로 지급이 되는데요. 확정 정보 기준으로 매월 1일 지원금액이 충전되며 당월 말일까지 사용하시면 됩니다. 매월 2000원 미만에 한해서 이월도 가능합니다.
바우처카드 사용처는 검색창에 농식품 바우처라고 검색하셔서 가맹점들을 보실 수 있는데요 홈페이지 접속 후 사용안내를 클릭하시면 농식품 바우처 오프라인과 온라인 가맹점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사용처의 경우 지역을 선택하고 사용할 수 있는 곳을 확인하시면 되고 온라인 사용처는 농협몰에서 장바구니 상품을 담은 후 주문하기를 클릭하고 포인트 정보를 입력하여 결제하시면 됩니다.
농식품 바우처 카드 신청 방법
신청 방법은 주민등록상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로 방문하셔서 신청하시면 되는데요 행정복지센터 방문 후 농식품 바우처 카드 신청서 작성을 하고 제출하시면 행정복지센터에서 발급 자격을 검증합니다 상세 정보들을 등록하고 바우처에 해당된다면 신청자는 농식품 바우처 카드를 현장 방문 수령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행정복지센터 방문 시에 본인의 경우 신분증은 필수이고 대리인의 경우 신청이 신청서 사본과 위임장이 필요합니다.
농식품 바우처 카드 사용 가능지역
농심품 바우처의 경우 시범사업으로 시범지역에 거주하셔야 혜택을 보실 수 있는데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인천광역시 옹진군 / 대구광역시 달성군 / 강원도 평창군 / 화천군 충북 괴산군 / 충주시 / 충남 청양 당진시 / 전북 고창군 / 김제시 / 전남 해남군 / 장성군 / 강진군 / 경북 예천군 / 청도군 / 경남 밀양시 / 거제시
시범지역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점차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고물가 시대에 전국적으로 농식품 바우처 제도가 확대 되어 우리 생활에 많은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기정화 식물이 공기청정기 만큼 효과가 있을까? (2) | 2023.09.21 |
---|---|
왜 항상 밤중에 아이 열이 더 심할까요? (0) | 2023.09.20 |
2023년 9월 꼭 알아야 할 필수정책 (0) | 2023.09.18 |
2024년 기초 생활 보장 제도 발표 (2) | 2023.09.17 |
연휴 장거리 주행시 꼭 알아야 할 자동차 점검 항목 (0) | 2023.09.15 |